정보노트
vc 딜 구조
크리스천 기업가 최바울
2025. 2. 14. 09:46
복잡해 보이는 아래 얘기를 LP(펀드 투자자 - 출자자) 입장에서 간단히 정리하자면;
- VC fund 상품은 금리가 낮은 시기에 상대적으로 고금리 상품이었고, 이를 통해 유입된 엄청난 유동성 덕분에 벤처/스타트업 밸류도 덩달아 올라 누이 좋고 매부 좋은 밀월기간 오랫동안 지속.
- 실적이 뒷받침 되는 GP들은 LP들이 돈을 더 넣어줘서 어느새 메가 펀드 운용사가 됨. 원래 VC fund GP는 운용 수수료 2% + 성과보수 20% 구조에서 성과보수를 보고 긴 펀드기간을 버티는 건데, 메가 펀드가 되고 보니 매년 받는 운용 수수료 2%만으로도 충분히 만족. 그러다 보니 욕 안먹을 정도 & 대규모 투자금을 받아 줄 기본빵 대형 딜만 찾아 다님.
- 근데 순수 금융투자 LP 입장에선, 홈런을 기대하고 출자한 건데 기본빵만 나옴. 이럴 바엔 그냥 헷지펀드, PE 펀드, 채권 펀드, 인프라 펀드 등 다른 대안투자 펀드에 출자하지, 왜 이런 VC fund에 투자하지? 더구나 고금리 상품도 많은데...라는 당연한 의문이 듦. 수익률도 고만고만하지, 유동성도 제한되지, 옛날과 달리 포트폴리오 분산화를 위한 다른 금융상품 종류도 엄청 늘었지...
- 그나마 (신생) 소형펀드는 헝그리 정신으로 리스크를 떠안고, 새로운 초기 딜 소싱과 투자로 차별화. 한 방을 기대할 수있음.
- 이 중 가장 사사구통은, 소형펀드 중에 메가펀드 쫓아 다니며 '클럽 딜'이라는 이름으로 묻어가기 하는 곳들. 이도 저도 아닌 전략.
- 그림이 복잡해 보일 땐, 처음 출발했던 곳으로 돌아가 전체를 조망해보는 게 좋다. 왜 VC 투자라는 게 생겼을까? 모든 거래는 기브앤테이크. VC fund라는 금융상품을 파는 GP가 좀 새롭고 다양한 상품을 개발해 LP 고객에게 제공해 줄 때가 이미 지났다. 지난 20년간 너무 그 나물에 그 밥. (어제가 정월대보름 - 오곡밥에 나물 먹는 날이어서 그런 거 아님^^)
<VC 트렌드/전망 시리즈 - 벤처 투자의 새로운 패러다임: 대형 VC의 몰락과 소형 펀드의 부상>
"이제는 작은 펀드의 시대... 20년간의 저금리 시대가 끝나며 벤처 캐피탈 지형도 대변화, 투자 수익률 압박 심화"
1. 저금리 시대의 종말과 현재 상황
- 지난 20년간 저금리로 인해 벤처 투자금이 10배 증가, 투자 생태계 과열
- 2024년 현재 24년 만의 최고 금리 기록하며 시장 냉각
- 시드 단계 기업의 시리즈A 진입률 45%에서 20%로 급감, 스타트업 생존 위기
- 많은 투자자들이 안전한 대형 펀드로 도피 중이나 이는 최선의 선택이 아닐 수 있음
- 2021년 많은 펀드들이 저금리 기반 베타 수익으로 높은 TVPI 기록했으나 현재 어려움 직면
2. 대형 펀드의 구조적 한계
- AUM(운용자산) 증가에 따른 알파 수익률 제한되며 수익성 악화
- '2 and 20' 수수료 구조로 인해 규모 확대를 통한 수익 추구
- 큰 투자금을 수용할 수 있는 제한된 딜에만 집중, 투자 유연성 감소
- 높은 밸류에이션과 큰 기대감이 이미 반영된 기업들에 투자해 리스크 증가
- 네트워킹과 영업에 능숙하나 투자 선별 능력은 제한적인 인력 구조
- 3년 배치 기간 동안 GP의 독특한 인사이트 창출에 한계 존재
3. 소형 펀드의 새로운 기회와 장점
- 독특한 인사이트를 가진 소형 펀드에게 유리한 시장 환경 조성
- 더 적은 경쟁으로 인한 차별화된 투자 기회 확보 가능성 증가
- 독립적 의사결정이 용이한 작은 팀 구조로 빠른 투자 진행 가능
- 펀드 규모가 작을수록 각 투자의 수익률 영향도 증가하는 이점
- 컨센서스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투자 전략 구사 가능
- 유동성이 낮은 환경에서 오히려 경쟁 감소로 인한 기회 확대
4. 두 가지 유형의 신생 펀드 매니저와 전략
- 대형 펀드와 공동 투자하는 유형
* 현재 어려운 상황에 직면
* 창업자들에게 실질적 가치 제공 제한적
* 단순 중개 역할에 그치는 한계
- 대형 펀드보다 선제 투자하는 유형
* 시장 위축기에 오히려 기회 증가
* 독특한 인사이트로 과감한 베팅 가능
* 창업자들에게 더 높은 가치 제공 가능
* 샌프란시스코 SaaS와 같은 효율적 시장 피해야 함
5. 향후 전망과 투자자들을 위한 시사점
- 벤처 투자의 본질은 높은 위험을 감수하는 자산군임을 재확인
- 대형 펀드들의 벤처 수익률 달성 능력에 대한 근본적 의문 제기
- 차별화된 인사이트와 과감한 투자가 가능한 소형 펀드의 중요성 부각
- 비효율적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 발견 가능성 증가
- LP들은 안전성만 추구하기보다 진정한 벤처 수익을 찾아야 할 시점
- 투자 환경 변화로 인한 새로운 기회 포착이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