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업자 vs 시장 보통 스타트업 성공에 있어 팀, 자본, 시장(아이템) 등의 요소들이 거론된다. 그 중에 대표적으로 창업자 vs 시장에 대한 주제로 글을 써보려고 한다. 나는 사실 "팀"이라는 개념보다 "창업자"개념을 더 좋아한다. 왜나하면 팀은 창업자라는 독립변수로 인해 만들어지는 종속변수로 따라오는게 "팀"이기 때문에 이 팀이 좋은 팀인지를 결국 알려면 창업자를 봐야된다.  (*그리고 많은 투자자들이 팀에 대해 많이 바라보는 뷰는 "백그라운드의 경험"을 보는 것이다. 가령, 어디 스타트업 어디 스타트업 출신이고 (토스, 야놀자 등), 무슨 해외대 구글 , 메타 출신들이 있고 이런 거에 포커스를 많이 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그것보다 더 중요한 건 개인적으로 팀에 대한 시너지가 날 수 밖에 없는 포인트가 무엇인지를 발.. 더보기
새해 25년 몇 가지 깨달음들. - b2c 서비스는 진짜 내가 고객인게 너무 중요하다.- 인간의 집중력은 정말 낫다.. 나도 자꾸 너무 여러개를 처리하려고 하는데 노트/종이를 통해서 정말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커머스의 가장 기본은 첫모객(혜택) -> 재구매고객 (혜택) -> 관심 -> 이걸 락인될 때까지.. 단골 손님 만들어내는 fnb들을 보면 배우는게 많긴 하다. 이걸 "온라인 환경"에 구현해내면 좋을 것 같다.-제품이 10배 이상 좋지 않으면 (2~3x) 정도라면 "서비스"만족이 이긴다. 가령, 삼겹살 집끼리 경쟁한다고 하면 고기집 수준이 서로 비슷 비슷해? 그러면 고기로 이길려고 애쓰기보다 (고기로 이기기 위해 rnd가 많이 들고 시간이 든다면) 서비스로 쓰레드 확장을 한다. (버티컬 벨류 확장). 가령 손님들 생일인분들이 온.. 더보기
논산 건강원 영상 아카이빙 / 천연치유 https://www.youtube.com/watch?v=HkC4XYeP7xk 칼슘과 인을 2:1로 비율로 맞추면 바이러스가 생길 수 없는 환경. 그래서칼슘을 많이 넣어주는 음식물과 칼슘을 빠지게 하지 않는 음식을 먹지 않으면 된다. 우리의 건강은 결국 하나의 (body)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 너무 심플한.    소화기 관련https://lilys.ai/digest/2424678/509659 undefinedundefinedlilys.ai 면역과 https://lilys.ai/digest/2424655/509631 undefinedundefinedlilys.ai 칼슘결https://lilys.ai/digest/2424649/509625 undefinedundefinedlilys.ai  https://l..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