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노트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4 서울 인문 포럼 / 후원사 참여 / 김지수 인터스텔라 / 노희영 / .. 최근에 서울 인문 포럼에 스폰서로 참여하여서 오전부터 오후까지 인문학을 공부하는 시간을 가졌다. 인문학은 우리에게 정말 본질적인 가치를 준다. 하지만 많은 젊은 사람들에게 인문학이라는 가치는 고리타분하고 어른들의 세계로 되어버렸다. 이런 부분들에 대한 어떤 사명감이 있고 그래서 이번에 후원사로 참여하게 되었다. (난 맨 밑에서 오른쪽에서의 4번째) 나는 2016년에 서울인문포럼에 간 적이 있다. 무려 8년만에 다시 온 것이다. 이때는 열정 가득하고 눈빛이 총명했던 대학생으로 갔지만 이번에는 어엿한 기업인이 되어 스폰서로 참여하였다. 다행이 2016년에 기록했던 블로그 포스팅이 살아있다 !!! 정말 열정이 많았던 것 같다. (8년전 나에게 쓰담쓰담,,) https://hellohyunil.tistor.. 더보기 최바울 포브스 매거진 아카이빙 25.4월호 (마지막)https://jmagazine.joins.com/forbes/view/34090825.3월호https://jmagazine.joins.com/forbes/view/340733 12월호https://jmagazine.joins.com/forbes/view/340595 11월호 https://jmagazine.joins.com/forbes/view/340518 CEO들이 가장 놓치기 쉬운 것 jmagazine.joins.com 10월호 https://jmagazine.joins.com/forbes/view/340477 직원 교육을 열심히 해야 하는 이유 jmagazine.joins.com 9월호 https://jmagazine.joins.com/forbes/view/340416.. 더보기 인사이터 강의 커리큘럼 2회차 끝 ▶ 더 나은 세션을 위해서 필요한 점을 말씀해 주신다면? (마스터님께서 다음 세션을 준비하면서 참조가 될 만한 내용들) - 이슈토론 발제 주제의 명확성의 보완으로 인한 멤버들의 토론 참여도 고취가 되면 좋겠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 이번 세션 중에서 지속적으로 강화해 주었으면 하는 좋았던 점은 어떤 것이 있나요? 아래 내용들이 좋았다는 피드백들이 있었습니다! - 가지고 있는 고민들에 대한 상담/피드백 - 구체적인 사례 등 보여주시는 것들 (직접 사용하시는 협업툴/시트/대화 등 보여주신 것) 안녕하세요, 마스터님 🙂 지난 세션에서 좋은 배움과 인사이트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래 내용은, 지난 세션 멤버들의 만족도 조사 내용입니다. 마스터님이 추후 세션 준비하실 때 참조하시면 .. 더보기 mz 대박사장 출연 https://www.youtube.com/watch?v=NJmd9ZwcYDY&list=PL0dOq2-5pHmhaIleiZsvzhXi8lnHSi7ZW&index=28 더보기 정진호 회장님 TWA 2기 24.10.25 만남. 아내의 지인? 에게 돈을 뛰어넘어선 사역. 그 여자가 아내를 이용했지만, 어떻게 저렇게 돈을 잃음에도 불구하고 한 사람을 위해 복음을 전할 수 있는가? 나는 되게 크게 머라고 했는데. 그걸 보고 예수님이라는게 뭘까. 내 모든 걸 다주더라도 이게 뭘까.. 기업가들이 실패하는 이유. 주권을 하나님에게 안줘. 계속 하나님을 이용해. 질문주셨던 것 1. 페오펫은 어떤 기업 문화가 특별한가? 다른가? 꼭 크리스천이 아니더라도?2. 재정적인 이익을 하나님께 어떻게 바치냐? 회장님 회사 이름 바꾼게 액팅.. 뭐시기였는데이게 바로 사도행전. 24.10.24 와 간증보는데 정말.. 멋지신 분이고 정말 또 나랑 비슷한 면도 있으시고.. 눈물도 났다. 정말 하나님과 함께하면 성공은 당연하게도 따.. 더보기 인피니트 게임 유한게임과 무한게임 유한게임은 끝이 정해져있음 규칙도 있음 참여자도 누구인지 앎. 축구 같은 경우 유니폼을 입고 스코어가 (골) 더 많은 팀이 이기는거고 경기 시간이 정해져있음. 무한게임은 그 반대임 참여자도 모르고 규칙도 없고 이기는 개념이 없음 비즈니스가 그럼. 비즈니스에서의 유한게임식 참여자는 상품의 판매가 회사에 어떤 이득을 주는지에 맞춰져있다. 반면 무한게임 방식의 사고 참여자는 구매자에게 어떤 이익이 돌아가는지에 중점을 둔다. 무한 게임식으로 운영되는 기업은 자기만 생각하지 않는다. 기업의 의사결정이 국민에게 지역사회에게 경제에 국가에 세계에 미치는 영향을 전부 고려한다. 유한 게임식 사고는 경쟁 상대가 하는 일에 지나치게 집착해서 그들의 행동 하나하나에 반응하다가 정작 자사를 발전시킬 좋은 .. 더보기 나스닥 상장요건 https://www.pwc.com/kr/ko/insights/insight-research/samilpwc_ipo-2022.pdf 페오펫 나스닥 준비를 위해... 더보기 농식품 투자 펀드 정보 https://assist.apfs.kr/usr/main/main.do 농식품 투자정보 플랫폼 ASSIST 농식품 투자정보 플랫폼 농림수산식품 투자정보, 탐색부터 지원까지! --> 산업·경영체 분석 보고서 아래로 스크롤 해주세요 assist.apfs.kr 더보기 B2C 사업자는 진짜 경쟁자 분석이 중요하다. B2C는 정말 경쟁자들이 어떤 가치를 제공했는지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해야된다. 예를 들면 햄버거 +감튀 + 콜라가 = 1만원인데 (보통 시세가) 누가 1만 5천원에 판다면 왜 5천원이 더 비싼지에 대한 프로덕트 경험이 고객에게 느껴져야 한다. 가격에 대한 프로덕트 가치가 명확하지 않으면 고객들은 그것을 계속 이용할 / 구매할 이유가 없다. B2C 사업을 하고 있다면 파운더마켓핏이 정말 중요하다. 패션 사업을 하고 있다면 대표가 정말 패션을 잘 알고 / 패션을 꿰고 있어야 한다. 근데 대표가 그렇지 않다? 그러면 그걸 공동창업자로 혹은 팀원들로 어떻게 그 민감함과 디테일을 메꿀지 정말 많은 고민을 하고 조직 문화로 풀어내야 한다. 더보기 민우님 그로스지표 관련 아카이빙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 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