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디캠프에서 장병규와의 대화를 주제로 하여 스타트업에 관한 여러 얘기들이 오갔다.그 내용을 디캠프측에서 정리를 잘해주었고 기사마다 깨달은 점을 옮겨 놓고 싶어서 포스팅을 시작하게 된다. 디캠프 사이트에 가면 장병규와의 대화라고 하여 #N 이렇게 숫자별로 해당 대화를 볼 수가 있다. 이곳으로 http://dcamp.kr/event/apply/992
아무튼 정리 시작.
투자자 관점에서 처음에는 사람이 중요하고 투자의 시리즈가 뒤로 갈수록 지표나 숫자가 중요하다. 돈 받는것도 마찬가지이다. 설사 밸류에이션이 낮더라도 우리 업을 도와줄 수 있는 사람을 골라야 한다. 지금까지 경험이 있고 네트워크가 강하신 분들 에게 투자받는 것이 좋다. 뒤쪽 시리즈C, D에서는 숫자로 이야기 해야한다. 엔젤투자자도 주식투자고 시리즈C도 주식투자자라 형식은 비슷하지만, 그런데 본질은 다르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가 다르다. 뒤로갈수록 계약서가 두꺼워지고 복잡해진다.
지난번에도 한 이야기인데, 여기 계신분들이 가져야 하는 생각이 있다. 창업은 비정형적이라 정답이 없다고 생각해야 한다.
대학생들이 아무 경험 없이 창업하러 가는거 죽으러 가는 거다. 성공은 확률이 매우 낮다.준비를 해야 한다. 창업의 성공 요소가 여러가지 있을 수도 있는데, 유일하게 축적되는 것이 팀의 역량이다. 개인 역량 + 팀웍. 그러면 개인 역량 팀웍을 쌓기 위해 노력하라.
제품만들어 놓고 고객을 만나는 것이 아니라, 고객만나는 것과 제품 만드는것 동시에 가야된다. 고객을 빨리 만들어야 한다. 자동차 외장수리라는 아이템인 카닥에서 앱을 만들고 매칭을 만들기 전에, 모든 프로세스를 전부 수동으로 했다. 시장에서 사진 세장 올리면 견적을 내주는데, 지금은 프로세스가 자동으로 된다. 그 전에 맨 처음에는 수동으로 했었다. 사진 세 장을 고객이 올리면 수동으로 자동차 공업소에 전화해서 사진 보내서 올려가지고 받아가지고 자동인 것처럼 그렇게 했었다. 그러면 개발 안해도 고객 만날 수 있다. 고객과 개발이 동시에 가야 된다. 왜 그래야 하는가? 제품을 만드는 이유는 고객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이다. 병행해야 한다. 절대 먼저 상상해서 제품을 만들지 마라. 수동으로 가능한 것은 다 수동으로 해라. B2B는 무조건 다 싸들고 가야 된다. 계속 찾아 가야된다. 그들의 니즈를 알기 위해 계속해서 알아가야 된다.
하지만 스타트업이 왜 의미가 있느냐? 자기 몸 값을 가장 빠르게 올리는 길이기 때문이다. 언제 멈추어야 하나? 하루하루 성장하고 있다는 느낌이 안들면 멈추어야 한다
1년 미만 창업자들과 함께 하는 장병규와의 대화 #4
투자자는 빨리 크는 회사에만 투자할 수 있다. 돈을 꾸준하게 잘 버는 회사에 투자를 못한다. 투자자는 구조상 빨리 성장할 곳에 한다. 그래서 다른 업체는 옵션이 아니었다. 투자는 주식과 관련되는 것이라, 믿음을 가지고 투자한다.
의사결정을 특정한 시간을 정해서 그 시간 내에 무조건 해라. 오늘 이 장소에서 이걸 반드시 결정한다하고 생각해라. 중요한 결정이라면 2~3주, 덜 중요한 결정이라면 1주동안 처음에 결정했던 것에 마음이 바뀌지 않는다면 바로 실행 하면 된다. by. 콜린 파월) 내가 가진 정보량이 40%이하면 결정을 미루고, 40~70% 범위에 든다면 결정하라.
하드웨어 스타트업의 경우 미국에 진출하려고 할 때, 미국의 괜찮은 IT전문 로펌을 반드시 만날 필요가 있다. 한국과 미국의 특허시스템은 형식적으로는 같지만, 실질적으로는 매우 다르다. 한국의 특허로펌이 미국의 상황에 맞추어 특허를 잘 써주는 경우는 거의 없다. 미국의 3대 특허 펌을 통해서 진행하기 바란다.
지적재산권에 올인해야 한다. 유사업종의 회사들이 시작하려고 하면 지적재산권을 무조건 침해해서 걸릴 수 있도록 방어를 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것들을 잘 발견해서 써주는 것이 훌륭한 변리사이다. 그들과 대화를 하면서 잘 써라.
문과계열 대학생 예비창업자들과 함께 하는 장병규와의 대화 #1
처음부터 좋은 멤버와 함께 할 수있다면 좋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높다고 생각해야 한다. 직원을 뽑으려고하지 말고 스톡옵션을 주고 핵심인력을 채용해야 한다.
스타트업은 고려하는 것을 많이 하면 안되고, 시행착오를 통해서 돌아가야 한다. 그 사업의 핵심에 대해서만 제대로 해야한다. 잘하지는 못해도, 양심에 가책은 없게 해라. 그러니 모르고 하는게 답이다. 다 준비되고 하는 사람은 없다.
공동창업보다 핵심인재로 가라. 그만큼 창업해서 성공할 확률이 낮기 때문이다. 이 후 스타트업을 경험한 뒤에 내 스타트업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공동창업자는 같이 시작하는 여러 명을 다 하는 것이 아니라, 그 회사가 망할 때까지 있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것이다. 그리고 공동창업자가 중요한 역할을 모두 할 줄 알아야 한다. 나의 경우에도 검색엔진에 대한 테크 부분에서 구멍이 나면 메꿀 수가 있었다. 또한, 자금조달이나 경영에 대한 부분도 알고 있었다. 사업은 단계적으로 성공하는 것인데, 작은 성공들을 만들어야 한다. 팀원들이 빠지더라도 공동창업자들이 해야한다.
창업을 할 때 더 중요한 것은 함께 할 사람의 바지가랑이를 잡기 위해 돌아다녀야 한다. 열심히 만나러 돌아다녀야 된다.
주니어때는 좋은 사수를 만나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 회사에서 매일 배운다고 느끼는가? 매일 사수로부터 무언가를 배우고 있는가, 성장하고 있는가에 대한 물음의 대답이 부정적이면 나오는 것이 낫다.
엔지니어들의 바짓가랑이를 잡고 반복해서 배워야 한다. 어떻게 하면 마음을 여는지, 어떤 사람들이 좋은 사람들인지, 주변에 좋은 엔지니어들부터 잡아라
'정보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트업 관련된 꿀팁 (0) | 2016.03.20 |
---|---|
어패럴뉴스세미나2016/fashionbusiness4.0을찾아서 (0) | 2016.03.06 |
랜딩페이지의 전환을 높이기 위한 UX가이드 (0) | 2016.03.06 |
책 읽어야되는 목록- #최현일 (0) | 2016.02.21 |
책을 아주 저렴한 가격으로 출판할 수 있는 서비스 (0) | 2016.01.28 |